Tuesday 4 November 2008

Juwang-san National Park 주왕산 국립공원

Byeol-bawi peak (star rock?). South Juwang-san.별바위봉, 남주왕산

This weekend I was joined again by Leeds Rambler A.J.Howarth for the trek through the closed sec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This 30km leg of the journey is the scenic highlight of the trail and the only National Park the Nakdong-jeongmaek passes through.
이번 주말에 A.J.Howarth씨를 다시 만나 주왕산국립공원 폐쇄지역을 통과해야 하는 험난하고도 먼 산행을 했다. 이 30km의 여정은 이번 산행 중 경치가 제일 좋은 곳이며 낙동정맥에서 유일한 국립공원이다.

Trail entrance at Pinamu-jae pass 피나무재에 있는 등산로 입구

The signs above indicate that the trail is closed. All National Parks in Korea have sections which are closed to hikers for reasons of nature preservation; which sounds fair enough considering the amount of people living here and the considerable impact this has had on wildlife, but strangely these closed sections are almost exclusively on the path of the long distance trails such as the Baekdu-daegan and here the Nakdong-jeongmaek. There may be a number of reasons for this but it does start to feel like an attack on the legitimacy of these trails.
위에 있는 표지는 등산로가 폐쇄되었음을 알려 주고 있다. 한국의 모든 국립공원은 자연보호를 위해 등산객들의 출입을 금지하는 구역들이 있다. 이런 조치는 이곳에 살고 있는 많은 주민들과 야생동식물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이해한다면 타당하고 충분한 이유가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백두대간, 낙동정맥과 같은 긴 거리의 등산로에 아주 불편하게 폐쇄구역들을 설정해 놓았다는 것은 아무래도 잘 납득이 되지 않는다. 물론, 거기에는 많은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어쩐지 이 등산로를 이용하는 산행객들이 자기네들의 권리도 보장해 달라는 항의가 있을 것 같기도 하다.
Juwang-san is famous for its deep long valleys with clear pools and stunning rock formations which are home to a small population of otters and their protection seems to be the main reason sited for the closing of the trail, which is ridiculous really as there is no water on the ridge; last I heard otters like to live down in the valleys near water not on high dry peaks. Perhaps Juwang-san National Park should consider closing one of the valley trails which see hundreds of thousands of visitors every weekend at this time of year.
주왕산은 그 계곡이 깊고 길며, 맑은 웅덩이와 뾰족뾰족한 바위의 형상들로 유명하다.
이것들은 몇 마리 안 되는 수달의 집이며, 그들을 보호하는 것이 등산로를 폐쇄하는 주된 이유인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은 참으로 웃기는 일이다, 왜냐하면 능선에는 물이 없다. 수달은 높고 메마른 봉우리가 아니고, 아래쪽 물 근처 계곡에서 살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아마도 주왕산국립공원은 매년 이때쯤이면 주말마다 수십만의 등산객이 붐비는 계곡 등산로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폐쇄해야 옳을 것이다. 수달의 생존을 위해서 그렇다.
The Nakdong-jeongmaek through Juwang-san is closed until 2017 and hikers caught on the trail face a 500,000won fine. This doesnt stop those who have walked all the way north from Busan or south from Taebaek to get there and it didnt stop us either.
주왕산을 통과하는 낙동정맥 등산로는 2017년까지 폐쇄된다, 위반한 등산객이 붙들리면 5십만원의 벌금을 물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부산에서 출발해서 북으로, 또 태백에서 출발해서 남으로, 낙동정맥을 걸어서 이곳에 도착한 등산객들을 막지 못하고 있다, 당연히 우리들도 막지 못했다.

The ridge to Byeol-bawi. 별바위로 가는 능선


A.J.Howarth at the hole-in-the-rock, Byeol-bawi. 별바위 안에 있는 A.J.Howarth.


The J3 nakdong-jeongmaek team. J3 낙동정맥 팀

The J3 Nakdong team were the only others on the Juwang trail. An odd bunch with matching lycra pants who took their stealth mission seriously; only resting in the most unlikely spots under a thick cover of trees. Strangely for Koreans they were a lot of take and not much give at the communal picnic.
J3낙동정맥팀이 주왕산 산행에서 만난 유일한 다른 등산객들이었다. 모두 다 같이 스판텍스 바지를 갖추어 입고 진지하게 자기들의 비밀스런 임무를 수행하는 이상한 그룹이었다; 울창한 나무들이 두껍게 하늘을 가린, 아주 좁은 나무 사이에서 불편하게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만난 어떤 한국단체등산객들에게서도 볼 수 없었던 광경이었다. 다른 한국등산객들은 우리를 만나면 오래된 친구들처럼 반갑게 대하고 먹을 것을 풍성하게 안기곤 했었는데 이 팀들은 전혀 그렇지 않은 것이 우리를 더욱 이상하게 했다.

Hills above the Jeolgol valley. 절골 골짜기 위쪽의 능선

One of two guardians at a very old tomb on the trail.
등산길에 있는 아주 오래된 묘지의 한 망두석


North view from Gatbawi-san. 갓바위산에서 본 북쪽광경

What I think must be the rock Gat-bawi, below the peak.
내 생각에는 봉우리 아래에 있는 것이 , 갓바위가 틀림없다,

East from Gat-bawi into coastal Yeongdeok. 갓바위 동쪽 영덕연안

Andy and I got off the ridge, taking a trail down into the crowded Juwang valley to end the day. I'll put some photos up from there when I can work out how to make a slideshow.
Andy와 나는 그날의 산행을 마치려고 능선을 떠나 산길을 따라 붐비는 주왕산 계곡으로 내려왔다. 슬라이드쇼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면 그곳에서 찍은 사진들을 올리겠다.

Monday 27 October 2008


Saturday I walked between Gasa-ryeong and Pinamu-jae passes, leaving Pohang city area and walking along the natural border dividing Cheongsong county to the west and Yeongdeok county east. Walking was easier than the past few weekends with the trail passing over 10peaks, almost half the concentration of the previous 50km. The trail also became more open; a combination of the onset of autumn and a more mature forest which keeps the undergrowth lower.
토요일 나는 가사령과 피나무재 사이를 걸었다. 포항시 지역을 떠나 서쪽으로 청송군, 동쪽은 영덕군으로 갈라놓는 자연 경계를 따라 걸었다. 산행은 지난 몇 주 주말에 10개 이상의 봉우리를 넘으면서 걸었던 때보다 훨씬 수월했다. 지난 50km는 아주 어려운 고비였었다. 또한 등산로는 가을철의 시작과 함께 낮은 덤불이 우거져 가을색을 띠기 시작했고 그게 푸른 숲과 콤비를 이루며 더욱 활기찬 모습으로 변해있었다.

Daeseong-sa temple below Toam-jae pass, provincial road 68, Cheongsong-gun.
토암재 아래에 있는 대성사, 68번 지방도, 청송군.

The main building near the head of a stream flowing from the ridge, a tributary of the Nobu-cheon river.
능선으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개울의 상류 근처에 있는 법당, 노부천의 지류.

San-shin; Mountain Spirit of Daeseong-sa. 대성사의 산신

Eastern view from above Toam-jae pass. 위쪽 토암재에서 본 동쪽 광경

Looking west over pampas grass down to Gucheon dam from above Jilgo-gae pass.
질고개 위에서 건천댐을 향해 억새풀 위로 내려다본 서쪽 광경

Pinamu-gol rest area. 피나무 골 휴식처

Pinamu-jae (Linden tree pass) lies on the southern border of Juwang-san National Park and sees a fair bit of traffic travelling between the sites on this side of the park such as Jusanji reservoir and the Aerim-gegok (ice valley), so facilities are pretty good, like the restaurant above.
피나무재는 주왕산국립공원의 남쪽 경계 위에 놓여있다. 주산저수지와 같이 공원의 이쪽 지역과 어름계곡 사이에서는 꽤 많은 차량여행객들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위쪽 식당처럼 시설들이 상당히 좋다.

Budong-myeon downtown, below Pinamu-jae. 피나무재 아래 부동면 중심가

'Galjeongong' Andong Lim Ancestral home, Budong-myeon 부동면, ‘갈정공’ 안동 임씨 고가

Below the pass are a couple of restored Joseon Dynasty buildings 'Yeongmodang' and 'Galjeondang' built by the Andong Lim clan as a memorial to one of thier ancestors 'Galjeongong' who fled to these hills 50km east of Andong during the Imj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must have liked it as he stayed on after the seven year war and planted Pears in the valley. Posthumously he was named 'dong' (east), perhaps by his relatives as a result of the trips made to honour his grave.
고개 아래에는 안동 임씨 문중에서 그들의 선조인 ‘갈정공’을 모시는 사당으로 지은 조선시대의 건물 ‘영모당’ 과 ‘갈정당’ 두 채가 복원되어 있다. 그는 1592년 임진왜란 때 안동의 동쪽 50km에 있는 이곳 고개에서 피난을 했다. 그는 이곳을 무척 좋아해 7년 동안의 왜란이 끝난 후에도 이곳에 계속 머물면서 이 골짜기에 배나무를 심었다. 사후에 그를 ‘동(東)’이라고 불렀다, 아마 그의 친척들이 그의 공을 기리기 위해서 붙인 것 같다.

A 2003 poem by Lim Jong-guk; 11th generation descendent of Galjeongong (Something may be lost in the translation). 2003년에 갈정공의 11세손, 임 종국 씨가 쓴 시.

"Spirit

Though valueless, all plants have their roots...
Like this..a river has energy from the soul of the mountain.
Here is water that has unraveled from the streams piece by piece.
'rijeonri', the pear field, takes after a crane which keeps away from hyeonhaetan's mad whirlwind.
The first Andong Lim who settled here was the civil servant Galjeong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is the place where we can smell his body odour.
He is higher than Ma am-bong (peak); bluer and more innocent than a pear flower.

Ah~~ our spirit!"

The ridge of Juwang-san National Park 주왕산국립공원 능선

Monday 20 October 2008

The eastern face of the Nakdong ridge from provincial road 921, Gibuk subcounty area.지방도 921에서 본 낙동정맥의 동부능선, 기북면 지역.

Saturday I set off early for the nine hour hike from the Hanti tunnel through to Gasa-ryeong pass. This section of the trail flanks the back road from Pohang to Andong I drive quite a bit, and Ive often wondered who walks up in them hills.
It turns out that few people do, and over the day I met only 2 others, walking the same section from the opposite direction.
At all times the ridge here is wrapped in thick low forest offering few views of the outside world, which kept me pretty focused on the task of crossing 16 peaks to Gasa-ryeong.
한티터널부터 가사령 고개까지 9시간이 걸리는 하이킹을 위해 토요일 일찍 출발을 했다.
포항에서 안동으로 가는 상당히 먼 시골길을 운전해 갔다.
나는 산행을 하면서 누가 이런 고갯길을 걸어갈까 하고 가끔 이상하게 생각하곤 했다.
이런 산행을 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온 종일 걸어도 단 두 사람을 만났을 뿐이니까, 그들은 반대방향에서 이 코스를 걸어오는 사람들이었다. 이곳 능선에는 언제나 낮은 숲이 빽빽하게 우거져 있어 바깥 경치를 잘 볼 수가 없다. 그리고 이 숲은 가사령까지 16봉우리를 넘어가는데 상당히 조심을 해야 했고 그래서 더 힘이 들었다.

Chimgok-san (725m) 침곡산(725m)


Just passed halfway, apparently. (left=north, right=south)
보는 바와 같이 막 중간지점을 통과했다. (왼쪽=북, 오른쪽=남)

I was wondering if there would be something commemorating halfway. I dont know about the numbers here, according to the distances on my maps the total trail length is 502km, 250 to this point.
나는 거기에 중간지점을 기념하는 무언가가 있지 않을까 하고 막연히 기대해 봤다.
나는 이곳의 위치를 잘 모르겠다. 내가 가지고 있는 지도상의 거리를 보면 전체거리 502km, 이 지점까지는 250km로 되어있다.

The one and only view point of the day. looking south west back along the ridge.
이날 유일하게 전망이 가능한 포인트. 능선을 따라 남서쪽으로 본 광경.

The usual suspects. 등산길에 만날 수 있는 나무에 걸린 안내리본

Since the trail has become more remote and less travelled the amount of ribbons on the trees has dramatically increased, with the branches on every corner covered. Navigation has never been easier.
산길이 점점 더 깊어지고 등산객이 점점 적어지니 모든 길목마다 나뭇가지에 달아놓은 리본의 숫자가 갑자기 더 많아졌다. 길을 찾아 가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Gasa-ryeong end of the day, and the first peak for next weekend.
이날의 마지막이며 다음 주 산행할 첫 봉우리, 가사령

I'd planned to make a full weekend of it and push on Sunday to Pinamu-jae (Linden tree pass), the southern entrance of Juwang-san National Park. However, seeing as I was parked back on the road to Andong and with a solid thirst going I went for beers. So thats the plan next Saturday, which I was going to take off.
나는 주말의 산행계획을 완전하게 세워 두었고, 일요일에는 주왕산국립공원의 남쪽 입구인 피나무재를 향해 출발하려고 했다. 하지만, 안동으로 돌아가는 길에 주차를 해 두었고 또 몹시 갈증이 나서 맥주를 마시러 갔다. 그래서 출발하려고 했던 그 계획은 다음 토요일로 미루고 말았다.

The ridge snaking north above Sangok-ri village.
상곡리 계곡 위를 북으로 뱀처럼 뻗어있는 능선.

Monday 13 October 2008


From mountain to mountain is the nature of the Nakdong-jeongmaek, but never on this trail has the yellow ribbon man's slogan been more appropriate than this weekend, as we crossed 17 steep peaks over 28km.
As the ridge begins to lift itself towards the highlands of Cheongsong county and Juwang-san National Park the trail has become rockier and the forest fuller and more mature, making for good walking.
‘이 산등성이에서 저 산등성이로’, 이것이 낙동정맥의 속성이다.
이번 주말산행에서 ‘노랑리본대원’들의 슬로건이 어느 때보다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28km에 걸쳐 있는 17개의 가파른 봉우리들을 힘겹게 넘었기 때문이다. *
능선은 청송군과 주왕산 국립공원의 높은 지역으로 뻗어 올라가기 때문에 산길이 바위가 많고 숲이 빽빽하게 짙었지만 산행에는 좋았다.
* Yellow Ribbon ; ‘노랑리본’은 미국에서, 정의로운 일에 목숨을 바친 젊은이들의 부모들이 만든 그룹의 이름이다. 멀리 떠난 사람, 특히 전장에 나간 군인, 인질 또는 포로들을 생각하며 그들이 안전하게 돌아오기를 기대하면서 노란 천 조각을 나무에 두른 것을 의미한다.

The ridge heading from the left up Samseong-san (578m).
왼쪽에서 삼성산(578m)으로 향하는 능선

Dodeok-san (702.6m), a nasty steep climb straight up a scree slope.
도덕산(702.6m), 돌 더미가 쌓여있는 고약하고 가파른 경사가 위쪽으로 곧게 뻗어 있다

South west view from Dodeok-san
도덕산에서 본 서남쪽 광경

The drop down to Iri-jae, the endpoint for Saturday.
이리재를 내려다보며, 토요일 산행의 마지막 지점

Bongjwa-san (600m)
봉좌산(600m)

Despite it being a Saturday with good weather I didn't meet any other people until near the end, at Bongjwa-san. 토요일의 좋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산행이 끝날 때까지 다른 등산객들을 한 사람도 볼 수가 없었다, 봉좌산에서.

Unju-san (807m) Destination Sunday. 운주산(807m), 일요일의 목적지

With the "Easy-going Nakdong-jeongmaek Team" ‘이-지 고잉 낙동정맥팀’ 과 함께

I arrived at Iri-jae just on dark Saturday with a 30km hitch back to my car to look forward to. I met the easygoing nakdong-jeongmaek team, who'd walked south to the pass and called a taxi to pick them up. I piled in too and they drove me from their car to mine; 40km out of their way, Cheers guys!
토요일 어두울 때 이리재에 도착했다. 남의 차를 얻어 타고 내 차가 있는 곳까지 30km를 돌아왔다. 나는 ‘이-지 고잉 낙동정맥팀’을 만났다, 그들은 이리재를 향해서 남쪽으로 내려왔다. 그들은 자기네 차가 있는 곳까지 택시를 불러 타고 갔다, 물론 나도 편승해 갔다,
그들은 다시 자기네 차로 40km나 떨어져 있는 내 차가 있는 곳까지 나를 태워다 주었다, 감사합니다, 친구들!


Sunday I was joined by Travis Lynn for the climb to Unju-san and on to the Hanti tunnel. Travis through-walked the 3500km Appalachian Trail last year and plans to walk the Baekdu-daegan here in Korea next year.
Unju-san is a fairly famous mountain dividing Yeongcheon and Pohang cities and there were a lot of hikers on the trail, making for a bit of a change from the past few weeks.
일요일, 운주산과 한티터널을 오르기 위해 Travis Lynn과 만났다. Travis는 작년에 Appalachian Trail(미국 국립관광로)를 종주했다. 그리고 내년에는 한국의 백두대간을 종주할 계획이다. 운주산은 영천과 포항 두 지역에 걸쳐있는 아주 유명한 산으로 몇 주 전부터 단풍이 들기 시작하면서 등산객들이 많아졌다.

Views north-west and north-east from Unju-san. 운주산에서 서북쪽과 동북쪽 광경

From an info board on the peak:
"When seen from a long way off it looks like a roof which lifts up the clouds. Thats why it is called Unju-san. Because of the steepness of this mountain General Kim Baek-am built a castle her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The Anguksa base was built here by the San-nam-ui-jin resistance to Japanese occupation in 1910. However, the base has disappeared as the Japanese army burnt it down.
There is a cave called "Bat hole" in the breast of the mountain, which can hold 100 people and was a refuge for people during the 1592 invasion and later during the Korean War"
정상에 있는 안내판에서:
“멀리 떨어져서 보면 산이 구름을 떠받치고 있는 지붕같이 보인다고 한다. 그래서 이 산을 운주산이라고 한다. 산이 아주 험준하기 때문에 1592년 임진왜란 때에 김백암 장군이 이곳에 성을 구축했다. 일본의 침략에 저항하기 위하여 조직한 항일의병부대 ‘산남의진’이 1910년에 이곳에 안국사를 세웠다. 그러나 일본군에 의해 소실되고 그 사지도 흔적이 없다. 산 중심부에 박쥐구멍이라는 동굴이 있는데 그곳에는 100명 정도 수용이 가능하며 1592년 임진왜란과 그 후 한국전쟁 동안에도 사람들의 피난처가 되었다.”
* 산남의진 : 山南(산남)은 嶺南(영남)을 뜻함. 1906년 3월 의병장 정용기 등이 경북영천을 중심으로 조직한 항일의병부대.

Climbing another peak in thick forest. 숲이 울창한 다른 봉우리를 오르다.

Hanti Tunnel on National Highway 31; end of the day.
31번 국도에 있는 한티터널; 그날 산행의 마지막.

Monday 6 October 2008


I was joined Friday by Ray Mears Woodlore Survival School graduate and Yecheon icon A.J.Howarth for the stretch to Shiti-jae pass on the border of Yeongcheon and Gyeongju cities. Howarth is armed with the skill to make a shelter from leaf litter and a torch out of tree sap but also has an irrational fear of spiders, which was tested on the well webbed path.
The trail continued from last weeks end point through low ridge and thick forest, crossing 5 peaks with Eorim-san (510m) being the highest. We only ran into two other walkers, both hiking the length of the ridge.
영천과 경주의 경계에 있는 시티재를 오르는 길에서 Woodlore Survival School 졸업생이며 예천의 우상 A.J.Howarth 를 금요일날 만났다. Howarth는 나뭇잎들로 은신처를 만들고, 나무의 수액으로 횃불도 만드는 기술이 있다, 그런가하면 거미에 대해서는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무서워했다, 거미줄이 잘 쳐져 있는 산길을 지나가다가 깜짝 놀라는 것을 보았다.
산행은 지난주의 종료지점부터 시작해서, 낮은 능선과 울창한 숲을 통과해서 제일 높은 곳인 어림산(510m)을 포함해서 다섯 봉우리를 넘었다. 우리는 다른 등산객 단 두 사람을 만났다, 그들 두 사람도 모두 같은 능선을 산행하는 사람이었다.
* Ray Mears Woodlore Survival School : 1983년 Ray Mears가 창설한 학교, 황야나 미개지에서 살아남는 지혜를 가르치는 학교.


Below Machi-jae, the first pass we crossed lies Hwangsu-sa temple, with large shrines to Yong-wang the Dragon King and San-shin the Mountain Spirit.
우리가 넘었던 첫 번째 고개인 마치재 아래에 황수사가 있다. 거기에는 용왕과 산신령을 모시는 큰 사당이 있다.

In the Yong-wang shrine. 용왕 사당 내부

San-shin of Hwangsu-sa. 황수사의 산신

Much of the ridge on the northern side of Eorim-san is heavily fenced with old military barbed wire, but the reason is unclear as the info boards are rusted and unreadable. A sign of the isolated nature of this section of the trail.
어림산 북쪽능선의 여러 곳에 옛 군대 철조망이 두껍게 쳐져 있다. 녹슬고 읽을 가치조차 없는 안내판이 있지만, 그 안내판으로는 이유를 분명히 알 수가 없다. 이번 산행구간 중에서 이 구역이 고립된 자연 상태를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는 징표이다.

A rare eastern view into the northern Gyeongju area.
북경주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동쪽 지역 광경

National Highway 28 crossing Shiti-jae. 시티재를 통과하는 28번국도


Shiti-jae is on a major road and as hoped is home to a classic Korean Hyuge-so rest area with full restaurant and convenience store. Theres often a truck pulled up at these places selling everything from sextoys to machetes and Shiti-jae is no exception; the guy here though has the shoes pictured below. I think George Costanza came up with an idea for spring-shoes, but someone here has gone ahead and made them, predictably naming them "wellbeing".
I'm getting a pair, if anybody wants one let me know.
시티재는 간선도로상에 있다. 바라던 대로 완전한 식당과 편의점이 있는 한‘국의 고전적인 휴게소가 있는 곳이다. 휴게소에는 가끔 성인용품을 비롯해서 대형 칼까지, 온갖물품을 트럭에 싣고 와서 팔고 있다. 시티재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한 녀석이 아래사진의 구두를 팔고 있다. 나는 George Costanza가 이 용수철구두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안한 줄 알았다.
그러나 이곳의 누군가가 용수철구두에 관한 아이디어를 먼저 생각해 내어 만들었을 것이다.
예상대로 그 구두의 이름은 ‘웰빙구두’였다
* George Costanza : 미국의 픽션 작가, TV 시트콤 작가로 유명하다. 그는 숏다리, 땅딸보, 우둔한사람, 대머리 등 여러 이름으로 묘사되고 있다.


Below the last peak before Shiti-jae is the Yeongcheon national military cemetary and monument to the site of the Yeongcheon battle.
20,000 soldiers who served in both the Korean and Vietnam Wars are buried here, as well as policemen who served in wartime and post-war soldiers of merit.
시티재 앞에 있는 마지막 봉우리 아래에 한국전쟁 당시 영천전투장이었던 부지에 국립묘지와 기념비가 있다.
한국전과 월남전에 참여했던 20,000명의 군인이 이곳에 묻혀있다. 마찬가지로 전시에 근무했던 경찰과 전후에 공적이 있는 군인들도 함께 묻혀있다.



From the trail we went to Andong to see the Seonyujulbulnoli festival at Hahoe village on the Nakdong river. The video is what happens there.
낙동강 가에 있는 하회마을에서 열리고 있는 선유줄불놀이 축제를 보기 위해 산행길에 바로 안동으로 갔다. 아래 비디오가 그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줄불놀이 광경이다.